국제유가가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 고조 여파로 상승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동부에 위치한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의 석유 가공 시설. /로이터 연합뉴스
1일(현지 시각)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물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 대비 1.84달러(2.13%) 상승한 배럴당 86.3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월물 브렌트유는 1.70달러(1.8%) 오른 배럴당 94.51달러에 체결됐다.
10월 한 달간 WTI와 브렌트유 모두 월간 상승을 기록했다. 지난 5월 이후 첫 월 기준 상승이다. 이에 대해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기타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의 감산 결정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란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에르빌을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가 주된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같은 정보가 미국과 공유되면서 사우디는 물론 미군이 주둔한 지역, 인근 다른 이웃 국가들도 군 경계 태세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사우디와 군사 및 정보 채널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란이 공격을 감행할 경우 이에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세계 2위 원유 수입국인 중국에서 코로나19 규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낙관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것도 가격 상승 동력이 됐다.
중국의 유명 이코노미스트 홍 하오는 트위터에 “중국 정부가 내년 3월을 목표로 재개방 시나리오를 검토하기 위해 위원회를 구성하고 코로나19 관련 해외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당국은 이를 부인했지만, 해당 소식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퍼지면서 홍콩과 중국증시가 크게 상승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851833?cds=news_edit
'코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G "한국 물가 고점 지난 듯…11월 25bp 인상 전망 유지" (0) | 2022.11.03 |
---|---|
[미 자이언트 스텝] "연준, 더딘 금리 인상 예고한 것" [무료청산맵 honorbit.co.kr] (2) | 2022.11.03 |
[코인브리핑] 11월 FOMC 앞두고 비트코인 약세..파월 연준 의장 '입' 주목 [도지코인, 일론머스크 트위터 HONORBIT.CO.KR 무료청산맵] (4) | 2022.11.01 |
코인베이스, 리플 '아미쿠스 브리프' 자처했다 [무료청산맵 아너비트 honorbit.co.kr] (2) | 2022.11.01 |
WSJ "美 가계저축 늘어 금리인상 효과 약해질듯…5.5%로 올릴수도" (0) | 2022.10.31 |